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ython강좌
- 자바시작하기
- 머신러닝
- 머신러닝 강의
- JAVA강좌
- java
- 머신러닝 강좌
- 파이썬강좌
- acmicpc.net
- Gradient Descent
- 비용함수
- 인공지능
- Python강의
- 파이썬강의
- 머신러닝공부
- feature scaling
- 자바강좌
- 딥러닝
- C언어
- c언어 오목
- 비지도학습
- 지도학습
- 효묘블로그
- 딥러닝공부
- 선형회귀
- unsupervised learning
- 자바
- 경사하강법
- supervised learning
- 백준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87)
컴공과컴맹효묘의블로그
문제 사이트 : https://www.acmicpc.net/problem/11729 생각의 시퀀스 및 풀이 최근 알고리즘을 제대로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에 일명 "종만북"이라 불리는 "프로그래밍 대회에서배우는 알고리즘 문제해결 전략"을 구입했다. 종만북은 나에게 너무 어려운 책이였다. 종만북에 실려있는 예제는 난이도가 상당하게 느껴졌고, 풀이를 보면 어떻게 이런 생각을 했을까? 하게 만드는 책이였다. 암튼 이 책을 200페이지까지 보고 쉬어가는 느낌으로 백준 알고리즘 [분할 정복]파트를 풀기로 했다. 난 이미 종만북 200페이지까지 봤으니 분할 정복에 대해선 어느정도 아는 상황이였다. 처음엔 감도 안잡혔다. 일단 히노이 탑을 옮기는 상상부터 했다. 첫 번째 장대를 세 번째 장대로 옮겨야 하니까... 판이 1..
다운로드 Python으로 순차정렬을 구현한 순차정렬입니다. import random as rand array = [] # 0부터 100미만의 정수들을 담는 리스트 생성. (array) for i in range (100): array.append(rand.randint(0,100)) # 정렬 알고리즘 적용 전 list print("====정렬 전====") for i in range(len(array)): print(array[i], end=', ') print() ############################ ALGORITHM ############################## # 정렬 알고리즘 o(N^2) 시작 for i in range(0, len(array)): # i번째를 기준으로 삼음..
C언어를 배우면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고싶기 마련입니다. 그 중 가장 만만하고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들이 게임입니다. 하지만, C언어는 검정 화면에 글자만 출력하여 게임을 어떻게 만들어야할지 모르겠는 사람들을 위해 글을 씁니다. 제 블로그에 쓴 글을 보시면, C언어로도 좌표계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포스팅에 사용법도 적혀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hyomyo.tistory.com/27 c언어로 게임을, c언어 좌표계 gotoxy()함수 C언어 콘솔창으로 테트리스, 오목을 만들 수 있다. c언어를 처음 배우는 분들이 c언어 콘솔창으로 게임을 만들고 싶을 때가 있을겁니다. 테트리스, 스네이크게임, 오목, 바둑 등 여러 게임을 만들때는 보통 좌표계.. hyomyo.tistory.c..

04-1 연산자 우선 자바의 모든 연산자와 우선 순위를 적용한 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 표는 절대로 외울 필요가 없으며, 필요할때마다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연산기호 결합방향 우선순위 ( ), [ ], . -> 1(높음) expr++, expr-- > -> 6 , =, instanceof -> 7 ==, != -> 8 & -> 9 ^ -> 10 | -> 11 && -> 12 || -> 13 ? expr : expr = 이므로 앞의 연산을 먼저 합니다. x = ( 3 - 10 ) - 4 x = (-7) - 4 x = - 11 이젠 = 연산을 합니다. 결합 방향은 5 같은 경우 오류가 없으니 true값을, 7 = 예) x == 예) x == y x와 y이 같나? -> != 예) x != y x와 y가 다르..

가끔 Eclipse에서 단축키가 안될때가 있습니다. Ctrl + 화살표 Alt + 화살표 등 대부분의 Editor에서 공통적으로 작동하는 편한 단축키가 있는데 이때 Eclipse Welcome 페이지에서 하단 우측에 있는 Always show Welcome at start up 을 해제하시고 재시작 하시면 간단하게 해결됩니다. Eclipse Welcome 페이지는 상단 목록 중 Help 에 있습니다.

03-1 상수(literal) 상수 literal 프로그래밍에서 상수란, 수학에서 말하는 그 상수와 같습니다. 우리는 이미 변수(Variable)과 자료형(Data Type)에서 이미 상수를 사용했었습니다. int num = 10; int형 num을 선언하고 10을 저장한다. 이 코드에서 상수를 사용했습니다. 상수도 메모리공간에 저장이 됩니다. 상수간의 연산도 CPU에서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상수 또한 메모리 공간에 저장됩니다. 단, 변수와는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상수는 이름이 없습니다. 이름이 없으므로 메모리에 접근할 수도, 데이터를 변경시킬 수 없습니다. 03-2 상수의 표현 방식 상수의 자료형(Data Type) 상수도 자료형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정수형 상수는 int형, 실수형 상..
Seoul 42에 교육생으로 들어가고싶으면 온라인 테스트를 먼져 봐야합니다. 온라인 테스트는 두 가지로 나위어져있습니다. 첫 번째는 기억력 테스트입니다. 약 4분정도 소요되고 단순한 순간 기억력 테스트입니다. 게임 룰이 어렵지 않아 그냥 보고 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저는 기억력이 별로 안좋아서 한 14레벨정도 까지만 갔습니다. 두 번째는 컴퓨터 사고력을 테스트하는 논리력 테스트입니다. 유명한 게임중에 Lightbot이라는 게임이 있는데, 이 게임과 정말 유사합니다. 42Seoul 온라인 테스트는 게임 설명이 없으니 Lightbot을 한번 플레이해보고 온라인 테스트를 도전하시는게 좋을거같습니다. 참고로 Lightbot보다 조금 더 어려운 수준입니다. 전 19레벨까지 깻습니다. 아마 20레벨까지 있는걸로..

02-1 변수의 이해 변수란 무엇일까? 변수란, 한 문장으로 간단히 표현하자면 "프로그래머가 데이터(값)의 저장과 참조를 위해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데이터는 정수형 숫자, 실수형 숫자, 문자열 등을 말하는 것입니다. 참조는 그 변수에 어떤 값이 들어있는지 찾아보는 것입니다. 변수에대한 간단한 이해를 설명하겠습니다. 프로그래머는 메모리에대한 '할당'과 '접근'을 해야합니다. 마치 우리가 '팔레트'에 사용할 '물감'을 짜는것 처럼요. 그리고 메모리 공간의 할당은 Java에서는 간단히 할 수 있습니다. int num; "10진수 정수를 저장할 메모리 공간을 할당해야겠다. 그리고 그 메모리 공간을 num이라고 불러야지." 간단한 코드 한 줄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그 메모리의 이름까지 ..

안녕하세요 효묘입니다. 최근 Java를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오늘부터 공부할 겸 기록하면서 제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바 강좌를 하려고 합니다. (백수라서 그런거 아님. 암튼 아님.) 사실 정말 시간도 오래걸리고(누구나 볼 수 있는 강좌이기때문에 틀린 내용을 쓰지 않으려고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인터넷에서 정보를 얻으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긴 합니다... 그리고 블로그에 글을 쓰는 시간까지 생각하면..) 쓰잘때기 없는 행동같지만, 나중에 제가 완성한 강좌들을 보면 뿌듯하지 않을까요..? 암튼 그러길 바라면서 초보자들을 위한 Java 프로그래밍 시작하겠습니다. 01-1 자바 프로그래밍 자바는 1995년 Sun Microsystems에서 처음 출시된 프로그래밍 언어이자 컴퓨터 플랫폼이다. 자..
이 책은 인공지능에게 대체되지 않는 '나'를 만들기 위한 8가지 방법을 써 놓았다. 그의 생각은 인공지능은 절대 할 수 없는 능력을 키우자는 것이다. 물론 몇 백년, 몇천년 후에는 그 마저도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있다고 해도 (아마 그런 일은 없을 수도 있겠지만) 인공지능은 인간을 완벽하게 따라할 수 없다고 했다. 그 능력이 바로 철학하기다. 이지성씨는 실리콘벨리의 사람들은 철학에 빠졌다며 사람들에게 철학의 중요성을 계속해서 강조한다. 상위권 학교들은 교육 과정에 필수 교양으로 넣는다며 그들은 철학의 중요성을 이미 알고 있다고 했다. 철학하는 방법, 트리비움을 하라. 트리비움은 수사학, 문법학, 논리학적으로 생각하는 방법이다. 저자는 우리가 트리비움을 통해 깊게 생각하고, 생각을 다듬고, 생각을 알기 쉽..